사회 전반의 모든 일. 현재. 과거. 미래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 '한국은 2024년 기준 7위'

현재가 중요해 2025. 6. 8. 09:27
반응형

세계 자동차 생산국 '1위 중국'에서 생산하는 자동차 종류 '한국은 몇 위?'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자동차 생산국 순위는 7위이다. 과거에는 5~6위를 유지하기도 했으나, 2024년에는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멕시코에 밀려 7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 2024년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 (상위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량 기준):

 

1. 중국 (압도적인 1위)

 

2. 미국

 

3. 일본

 

4. 인도

 

5. 독일

 

6. 멕시코

 

7. 대한민국

 

이후 순위는 브라질, 스페인, 태국 등이 뒤를 잇는 경향이 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내수 시장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앞으로 '톱 10' 생산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 한국은 몇 위?

세계적으로 자동차는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교통수단 중 하나다. 매년 수백만 대의 신차가 생산되며, 그중 상당수는 소수의 국가에서 제조된다. 사진을 통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자동차

www.msn.com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소비국답게 매우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를 생산한다. 크게 중국 자체 브랜드해외 브랜드의 합작 생산으로 나눌 수 있다.

 

1. 중국 자체 브랜드 (내수 시장 강세 및 수출 증가)

 

과거에는 저가형 모델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기술력과 디자인이 크게 발전하여 고품질의 차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로 부상했다.

 

■ 주요 중국 자동차 브랜드:

 

※ BYD (비야디): 현재 세계 1위 전기차 생산 기업으로, 내연기관차 생산을 중단하고 신에너지차(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에 집중하고 있다. '송(Song)', '친(Qin)', '한(Han)', '돌핀(Dolphin)', '씰(Seal)' 등 다양한 세단, SUV, 해치백 모델을 생산하며,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Yangwang)', '팡청바오(Fangchengbao)'도 보유하고 있다.

 

※ 지리 자동차 (Geely Auto): 볼보, 로터스, 폴스타 등 해외 유명 브랜드를 인수한 것으로 유명하며, 자체적으로도 다양한 승용차, SUV, 전기차를 생산한다. '링크앤코(Lynk & Co)', '지커(Zeekr)' 등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도 보유하고 있다.

 

※ 상하이자동차 (SAIC Motor): 중국 3대 국영 자동차 제조사 중 하나로, 폭스바겐, GM 등과 합작하여 생산하는 비중이 컸지만, 자체 브랜드 '로위(Roewe)'와 'MG' (영국 MG 로버 인수)를 통해 전기차와 SUV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창안자동차 (Changan Auto):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등 다양한 차량을 생산하며,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적이다. '딥팔(Deepal)'과 '아바타(Avatr)'와 같은 전기차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 둥펑 자동차 (Dongfeng Motor): 역시 중국 3대 국영 자동차 제조사 중 하나로,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와 합작회사를 운영하며, 자체 브랜드로도 트럭, 버스, 승용차 등을 생산한다.

 

※ FAW (First Automobile Works): 중국 최초의 자동차 제조사로, 고급 승용차 브랜드 '홍치(Hongqi)'를 통해 럭셔리 세단과 SUV를 생산하고 있다.

 

※ 창청자동차 (Great Wall Motor): SUV 전문 브랜드 '하발(Haval)', 픽업트럭 전문 '장성(GWM Pickup)', 전기차 브랜드 '오라(Ora)', 오프로드 전문 '탱크(Tank)' 등 다양한 전문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 체리자동차 (Chery Auto): 중저가형 승용차와 SUV를 주로 생산하며, 해외 수출에 적극적이다.

 

※ NIO (니오), Li Auto (리 오토), Xpeng (샤오펑):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고급 스마트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고성능 전기 SUV, 세단 등을 출시하고 있다.

 

※ 샤오미 (Xiaomi): IT 기업 샤오미도 최근 SU7이라는 전기차를 출시하며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다.

 

■ 주요 생산 차종:

 

전기차(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수요 증가로 인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소형 해치백부터 고급 세단, 대형 SUV, 미니밴 등 모든 종류의 전기차가 생산된다.

 

SUV: 중국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차종 중 하나로,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SUV가 생산된다.

 

세단: 과거에는 저가형 세단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중형 및 고급 세단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MPV (미니밴): 가족용 차량으로 인기가 많아 다양한 MPV 모델이 생산된다.

 

상용차: 트럭, 버스, 밴 등 다양한 상용차도 대규모로 생산된다.

 

2. 해외 브랜드의 합작 생산

 

중국은 외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때 합작 법인을 설립하도록 요구해왔다. 이를 통해 많은 해외 브랜드의 차량이 중국 현지에서 생산된다.

 

■ 주요 합작 브랜드 및 생산 차종:

 

※ 폭스바겐 (Volkswagen): FAW-폭스바겐, 상하이-폭스바겐 합작 법인을 통해 '라비다(Lavida)', '보라(Bora)', '마고탄(Magotan)' 등 다양한 세단과 SUV를 현지화하여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ID 시리즈도 현지 생산한다.

 

※ GM (General Motors): 상하이-GM(SAIC-GM), SAIC-GM-우링 등과 합작하여 뷰익, 쉐보레, 캐딜락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한다. 특히 우링(Wuling)은 저가형 미니 전기차 '홍광 미니 EV'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혼다 (Honda) 및 토요타 (Toyota): 광치 혼다(GAC Honda), 둥펑 혼다(Dongfeng Honda), FAW 토요타, GAC 토요타 등 여러 합작 법인을 통해 세단(어코드, 캠리 등), SUV(CR-V, RAV4 등),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한다.

 

※ 벤츠 (Mercedes-Benz) 및 BMW: 베이징 벤츠, BMW 브릴리언스 등의 합작 법인을 통해 고급 세단 및 SUV를 현지화하여 생산한다. 특히 중국 시장만을 위한 롱 휠베이스 모델(예: E-Class L)이 생산된다.

 

※ 현대자동차 및 기아: 북경현대, 둥펑열달기아 등의 합작 법인을 통해 아반떼(엘란트라), 쏘나타, 스포티지 등 다양한 승용차와 SUV를 생산했으나, 최근 중국 내 자체 브랜드의 강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테슬라 (Tesla):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모델 3'와 '모델 Y'를 생산하여 중국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로도 수출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는 자국 브랜드의 폭발적인 성장,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의 약진과 함께, 수많은 해외 브랜드의 현지 생산을 통해 매우 광범위한 종류와 기술 수준을 포괄하고 있다.

 

 

 

반응형